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로 세계의 부품, 소재, 완성품 공급망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미국 행정부가 중국과의 전면전을 전제로 삼고 세계의 공급망 구조에 변화를 블러올 수 있는 각종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미국 정부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을 계기로 반도체를 비롯한 핵심 산업 제품에 대한 공급망을 점검하는 작업에 돌입했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중국에 치우친 공급망 상태를 미국 중심으로 전환하겠다는 미국의 구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구상이 현실로 나타나면 국내 기업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서 미국이 중요시하는 반도체 산업의 경우, 이런 구상이 삼성전자가 미국에 반도체 생산라인을 증설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렇지만 중국에 수출하는 양이 많은 국내 기업들은 오히려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미국이 중국에서 생산된 부품과 소재, 완성품의 수입을 제한할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은 새로 만들어지는 공급망을 미국의 우방과 자유 진영 국가 중심으로 짜겠다는 구상을 내비치고 있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시나리오는 미국과 일본, 대만 등 3개 국가가 반도체 등 산업 전반에 걸쳐서 동맹을 맺고 중국의 공세에 대처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물론 삼성전자와 같이 세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기업을 보유한 한국도 이 동맹에 참가하기를 미국이 기대하고 있다는 신호는 이곳저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이 참가를 원하지 않는다면 끝까지 한국에 매달릴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미국과 일본, 대만의 3국 동맹만으로도 새로운 공급망을 유지해 나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한국은 새로 편성될 새로운 공급망 구조에서 핵심 국가가 아니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이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한국 산업과 기업들의 운명은 크게 달라질 것으로 생각된다. /김중배 大記者
|